안녕하세요? 세종우리성모안과입니다.
오늘 부터는 안과에 가장 많이 들어오는 문의중 하나인 안구건조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요즘에는 많은 분들이 이미 안구건조증에 대해 이미 알고 있으십니다.
그러나 진료를 하다 보면 안구 건조증과 인공눈물에 대한 오해가 있는 것을 종종 봅니다 그래서
1. 안구건조증이란?
2. 인공눈물을 포함한 건조증 치료제의 소개와 오해
3. 안구건조증을 완화시키는 대증요법...
이렇게 세부분으로 나눠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 안구건조증이 무엇인가요?
많은 분들이 이미 알고계시고 인공누액을 쓰시고 계신 분들도 많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은 안구표면인 각막 및 결막에 형성되어있는 눈물막이 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여야하는데 양이 부족하거나 질이 좋지 않을 때 눈이 따갑거나 뻑뻑한 이물감을 느끼는 되는 증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사진 1과 같이 깨끗해야할 안구표면이 사진 2처럼 변하면서 증상이 생기게 됩니다
사진 1, 정상적인 눈의 사진과 플루레신 염색을 한 눈물막의 모습.
사진2. 증등도이상의 안구건조증으로 인한 눈물막의 파괴된 모습과 플루레신 염색 후 촬영된 거칠고 미세한 각막의 상처가 있는 모습
** 저는 눈물이 많은 편인데 안과에 가면 안구건조증이라고 하는데 맞는건가요?
예 안구건조증이 맞습니다. 안구건조증하면 일반적으로 뻑뻑한 증상만 생각하게 되는데요. 많은 환자분에게서 다음과같은 다양한 주관적증상이 있음을 알게 됩니다.
건조하거나 매연이 심한 곳에 있으면 눈이 화끈거린다.
찬 바람에 눈이 시린다.
외출할때마다 눈물이 너무 많이 난다.
눈에 뭐가 낀것처럼 뿌옇고 흐리다.
햇빛이나 형광등 아래서 눈 뜨기 어렵다.
콘택트렌즈 착용하기 어렵다.
눈이 피곤하면 눈곱이 잘 낀다.
아침에 일어나면 눈이 뻑뻑하고 충혈된다.
그 외에도 독서, 운전, TV 보기가 어렵다 등등 정말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곤 합니다. 따라서 위와같은 증상이 있으면 안과에서 안구건조증인지 진료가 필요합니다
**안구건조증이 있어서 병원에 가면 어떤 검사를 받게 되나요?
힘들고 어려운 검사를 받지 않습니다만 앞서 말씀드린 눈물의 양과 질을 알아야하기 때문에 눈물막안정성검사 와 눈물분비량검사 를 받게 됩니다.
눈물막 안정성 검사 눈물 분비량 검사.
이상 세종우리성모안과에서 알려드리는 안구건조증이였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안구건조증의 치료제와 오해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